○ 현실 이야기/경제소식

[미국] 2월 13일 목요일 미국 증시 마감 브리핑:상승 마감! 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협상 기대감 반영

이대위 2025. 2. 14. 07:48

2월 13일 목요일 미국 증시 마감 브리핑:

상승 마감! 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협상 기대감 반영

 

 

현지시각 2월 13일 목요일, 마감된 미국 증시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협상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주요 지수들이 상승 마감했습니다. 또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와 국채 금리 하락 등의 요인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요. 그럼, 오늘의 미국 증시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 미국 증시 마감 시황

3대 지수 상승 마감!

지수 종가 변동폭 변동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4,711.43 ▲342.87 +0.77%
S&P 500 6,115.07 ▲63.10 +1.04%
나스닥 종합지수 19,945.64 ▲295.69 +1.50%

 

🔹 나스닥이 1.5%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기술주들의 강세가 지수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 S&P 500은 6,100선을 돌파, 연일 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다우지수도 44,700선을 돌파하며 상승세 유지 🎯


📰 미국 증시 주요 이슈

1️⃣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

트럼프 대통령이 각 국가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시행 시기나 대상국을 밝히지 않아 협상 여지가 있다는 해석이 나오면서 시장이 안도감을 찾았습니다.

📌 상호 관세란?
각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
비관세 장벽(규제, 보조금 등)도 고려
유럽연합(EU), 중국 등이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 큼
한국도 예외가 아닐 수도?🤔

이로 인해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마찰 우려가 커졌지만, 구체적인 시행 일정이 나오지 않아 단기적으로는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2️⃣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1월 PPI는 전월 대비 0.4% 상승했으며, 시장 예상치(0.3%)를 상회했습니다.

📌 PPI(생산자물가지수)란?
📌 생산자가 받는 가격을 측정하는 지표로,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

💡 시장의 반응
📌 PPI 상승에도 불구하고, 세부 지표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
📌 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여전히 유지
📌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기술주 중심의 강세를 이끌어냄


3️⃣ 국채 금리 하락 📉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53%로 전일 대비 10bp(0.10%) 하락했습니다.

📌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
✅ 주식 시장 유동성 증가 📊
✅ 기술주에 긍정적인 영향 ⚡
✅ 성장주 강세 💪

이날 국채 금리 하락이 증시에 훈풍을 불어넣으며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주요 종목 동향 🚀

 

🚀 급등한 주식

🔹 엔비디아(NVDA) +3.16%
💡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의 신제품에 엔비디아 ‘블랙웰’ 칩이 탑재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 📈

🔹 테슬라(TSLA) +5.77%
💡 자율주행 관련 규제 완화 기대감 + 일론 머스크 CEO의 행정부 내 영향력 확대로 강세

🔹 로빈후드(HOOD) +13.00%
💡 암호화폐 거래량 증가 → 매출 2배 이상 증가 발표 🏦

🔹 MGM 리조트(MGM) +17.00%
💡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하며 급등 🎰

 

📉 하락한 주식

🔻 애플(AAPL) -1.02%
💡 트럼프 대통령이 애플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하며 하락

🔻 스타벅스(SBUX) -0.85%
💡 최근 미국 내 소비 둔화 우려로 인해 소폭 하락


📌 경제 지표 발표 📅

  •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
    📌 21만 3천 건으로 전주 대비 7천 건 감소 📉
    📌 시장 예상치(21만 5천 건)보다 낮아 고용 시장이 여전히 강하다는 신호
  •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예상치: 79.5)
    📌 오늘 밤 발표 예정, 증시 방향성에 중요한 변수 🎯

📌 총평 & 향후 증시 전망

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에도 협상 기대감으로 증시는 상승 마감
PPI 상승에도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 연준 금리 인하 기대 지속
국채 금리 하락 → 기술주 강세 유지
주요 기업 실적 호조 지속 → 투자 심리 개선

📢 오늘(2월 14일) 투자 전략
📌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국채 금리 동향 및 소비자심리지수 발표 주목
📌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도 유연한 투자 전략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