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취준생 정보/취업 상식 8

[취업 상식_법률] 헌법재판소의 기능

헌법재판소1) 헌법재판소     어떤 법령이 헌법에 위배되는지를 심판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 2) 재판관 구성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헌법재판소장을 포함해 총 9명으로 대통령ㆍ국회ㆍ대법원장이 각각 3명씩 선출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며, 헌법재판소 소장은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3) 재판관의 임기   재판관의 임기는 6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4) 헌법재판소의 기능 ㆍ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 여부 심판 ㆍ탄핵 및 정당의 해산 심판 ㆍ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 ㆍ국가기관 상호 간의 권한쟁의에 관한 심판

[취업 상식_사회] 프로슈머란?

프로슈머_트윈슈머, 체크슈머, 트라이슈머, 크리슈머프로슈머란 기업의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단어로 엘빈 토플러가 '제3의물결'에서 사용한 용어이다.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거나 직접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함께 알면 좋은 용어로 트윈슈머, 체크슈머, 트라이슈머, 크리슈머 등이 있다.

[취업 상식_IT] 머신러닝(Machine learnig)과 딥러닝(Deep lear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g)과 딥러닝(Deep learning)1.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이라고도 부르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와 처리 경험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정보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2. 딥러닝(Deep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심층 기계 학습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인 머신러닝 보다 더 깊은 신경망계층 구조를 이용하는     기계학습 3.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차이     머신러닝 모델은 성능 향상을 위해서 지도 학습이 필요하고 AI 알고리즘이 부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면 엔지니어의      조정이 필요 하지만 딥러닝은 알고리즘이 자체 신경망을 통해 정확성 여부를 ..

[취업 상식_IT] 빅테이터(Big data)란? 빅데이터의 특성과 종류

빅테이터(Big data)란? 빅데이터의 특성과 종류 1. 빅데이터(Big data)란?     디지털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주기가 짧고 수치, 문자, 영상 등을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2. 빅데이터의 속성_ 3V     빅데이터의 속성은 데이터의 크기(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로 나타납니다. 3. 데이터의 종류    1) 정형 데이터 : 미리 정해 놓은 형식과 구조에 따라 저장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예) 데이터 베이스, 스프레드 시트     2) 반정형 데이터 :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가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로 구조 정보를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파일 형식의    ..

[취업 상식_IT] 인공신경망의 종류_CNN, RNN, GAN

인공신경망의 종류_CNN, RNN, GAN  1. 인공 신경망    인공 신경망이란 유기 생물의 신경망에 착안하여 구현한 컴퓨팅 시스템으로 인공 신경망은 인공뉴런(노드)들과      노드들을 연결하는 인공 시냅스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퍼셉트론    초기 형태의 인공 신경망 모델로 다수의 입력값으로 부터 하나의 결과값을 도출하는 알고리즘  1) 단층 퍼셉트론 : 입력층과 출력층만 존재해서 값을 보내는 단계와 출력하는 단계, 단 두 단계로 이루어짐  2) 다층 퍼셉트론(Multy-Layer Perceptron)      단층 퍼셉트론과 달리 중간에 층(은닉층)을 더 한 것으로 입력에 대한 출력이 입력층에서 은닉층, 은닉층에서 출력층       으로 이어지는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 계산되는 알고리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