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 이야기/국제소식

북한, 미국 본토 타격 가능한 ICBM 양산 임박? – 미국 군부의 우려와 대응 전략

이대위 2025. 2. 14. 20:17

북한, 미국 본토 타격 가능한 ICBM 양산 임박? – 미국 군부의 우려와 대응 전략

최근 미국 국방부가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양산 단계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면서 국제 안보 지형에 중대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레고리 기요(Gregory Guillot) 북부사령부(NORTHCOM) 사령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북한이 이미 핵탄두를 북미 전역의 목표물에 투하할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체연료 기반 ICBM 개발을 통해 탐지 및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발언은 미국 내에서 북한의 ICBM 실전 배치 가능성과 이에 대한 미국의 방어 체계 구축 필요성을 둘러싼 논의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 군부의 평가, 북한의 미사일 개발 동향, 그리고 미국의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 북한 ICBM 양산 가능성 – 미국 군부의 경고

(1) 북한의 ICBM 전력 확장 가능성

기요 사령관은 북한이 연구·개발(R&D) 단계를 넘어 ICBM의 본격적인 연쇄 생산 및 실전 배치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를 들며 북한이 미사일 전력을 빠르게 확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1️⃣ 고체연료 기반 ICBM 개발

  • 지난해 10월 북한이 시험 발사한 화성-19형(추정) ICBM고체연료 방식을 사용했다.
  • 고체연료 미사일은 액체연료 미사일에 비해 발사 준비 시간이 짧아 사전 탐지가 더욱 어렵다.
  • 이로 인해 미국 및 동맹국의 조기 경보 시스템의 신뢰도를 낮출 수 있다.

2️⃣ 대량 생산 및 실전 배치 가능성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기존의 ICBM 개발 기조에서 대량 생산 및 실전 배치 기조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이는 북한이 전략 무기를 양적으로 확대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3️⃣ 미 본토 방어 역량 약화 가능성

  • 기요 사령관은 "북한의 미사일 전력이 증가하면서 미국의 방어 체계 신뢰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 이는 미국이 미사일 방어(MD) 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는 논리를 뒷받침한다.

2. 북한 ICBM의 실전 능력 – 미국 군부 내 엇갈린 평가

북한의 ICBM이 실제로 미국 본토를 타격할 능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미국 군부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 기요 사령관: “북한의 ICBM이 북미 전역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으며, 연쇄 생산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 새뮤얼 파파로(Samuel Paparo) 인도·태평양사령부 사령관: "북한이 ICBM에 핵탄두를 장착하고 대기권 재진입 후 목표물에 도달할 수 있는지 아직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지속적인 시험을 통해 목표에 다가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 해석:
현재 북한의 ICBM 기술 수준에 대한 평가가 분분하지만, 미국 군부는 북한이 지속적으로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실전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3. 미국의 대응 – 트럼프 행정부의 미사일 방어 전략

북한의 ICBM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 본토를 방어하기 위한 미사일 방어 체계 강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1) '아이언 돔(Iron Dome)' 구축 추진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이는 2026 회계연도 국방 예산안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 기존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과 같은 전방위 방어 체계로 확장하겠다는 것이 핵심.
  • 특히 알래스카 포트그릴리 기지 및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기지에 배치된 미사일 요격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 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 미사일 추적 및 요격 시스템 개발 가속화

미국 국방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통해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예정이다.
🔹 새로운 미사일 추적 위성 시스템 개발
🔹 전방위 레이더 및 감시 체계 강화
🔹 ICBM 요격 능력을 갖춘 지상 및 해상 배치 미사일 수량 확대

💡 결론: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한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을 추진하는 만큼, 향후 북한과 미국 간 군사적 긴장감이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크다.


4. 향후 전망 – 한반도 및 국제사회 영향

북한: ICBM 시험 발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며 실전 배치 가능성을 더욱 높일 가능성이 크다.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면서 대북 압박 수위를 높일 전망이다.
한국 및 동맹국: 미국의 방어 전략 변화에 따라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도 미사일 방어망 강화 및 군사 협력 강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사회: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유엔 및 국제사회가 추가적인 대북 제재를 고려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 결론 – 북한 ICBM 위협, 미사일 방어 체계 재편의 신호탄?

북한이 ICBM 양산 단계에 돌입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미국은 이에 대응하는 미사일 방어 시스템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비록 미국 군 내부에서도 북한의 핵탄두 장착 ICBM 실전 능력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지만, 전반적인 기조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 강화를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한반도를 포함한 국제 안보 지형이 다시 한 번 요동칠 가능성이 커졌다. 앞으로 북한의 군사적 움직임과 미국의 대응 전략을 주목하며, 한반도의 안보 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