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ㆍ학습/정치학ㆍ국제관계

[정치] 극우 포퓰리즘의 부상: 민주주의의 새로운 도전

공부하는 이립 2025. 3. 2. 10:24
반응형

극우 포퓰리즘의 부상: 민주주의의 새로운 도전

– 트럼프, 르펜, 멜로니 등 극우 정치인의 성장과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


1. 극우 포퓰리즘이란 무엇인가?

극우 포퓰리즘은 반(反)엘리트주의, 반(反)이민, 반(反)다문화주의 등의 요소를 핵심으로 하며, 강력한 국수주의적 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 운동이다. 이들은 기존의 정당 정치나 글로벌 거버넌스에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며, 특히 경제적 불평등, 글로벌화의 역효과, 이민 문제를 활용해 대중의 불안을 자극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미국), 마린 르펜(프랑스), 조르자 멜로니(이탈리아)와 같은 극우 정치인들은 이러한 기조를 바탕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으며 기존 정치 질서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2. 극우 포퓰리즘의 주요 사례

① 도널드 트럼프(미국) –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과 2024년 대선에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우며 반(反)이민, 보호무역주의, 반(反)엘리트주의를 강조했다.

 

최근 그는 다시 백악관에 복귀하며 글로벌 경제 질서를 뒤흔들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미국 경제 보호를 위한 고율 관세 정책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2월,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보호를 명목으로 상호 관세(Mutual Tariffs)를 발표 했다.

 

이 정책은 중국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한국, 일본 등 미국의 주요 동맹국까지 포함하면서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는 6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며, 이는 2018~2019년 1차 미·중 무역전쟁을 넘어서는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조치가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며, 특히 글로벌 공급망 붕괴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 이민자 강경 정책 & 멕시코 국경 장벽 확대
트럼프는 2024년 재선 운동 당시부터 불법 이민을 주요 이슈로 내세우며 "불법 이민자를 모두 추방하겠다"는 강경한 공약을 발표했다.

 

취임 후 그는 국경 장벽을 확장하고, 불법 이민자를 자동 추방하는 정책을 시행하며 미국 내 반이민 정서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 지원 중단과 NATO 압박
트럼프는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및 경제 지원을 대폭 삭감했다. 또한 NATO 회원국들에게 "국방비를 더 내지 않으면 NATO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고 압박하면서 동맹국들과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  트럼프의 경제적 민족주의와 고립주의적 정책은 국제 무역 질서를 흔들고 있으며, 동맹국들마저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반응형

 

② 마린 르펜(프랑스) – "프랑스 우선주의(Frexit 논의)"

프랑스의 극우 정치인 마린 르펜은 반(反)이민, 반(反)EU, 반(反)다문화주의를 핵심으로 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유럽연합(EU) 탈퇴(Frexit) 가능성 재부각
르펜은 프랑스의 경제적 자율성을 주장하며 "프랑스는 더 이상 EU 규제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만약 그녀가 차기 프랑스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프랑스의 EU 탈퇴(Frexit)가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반(反)이민 & 무슬림 사회 통제 강화
르펜은 프랑스 내 이슬람 인구 증가에 대한 불안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이슬람식 복장을 금지하고, 모스크 건립 제한, 무슬림 이민 금지 등의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는 프랑스 사회 내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③ 조르자 멜로니(이탈리아) – "전통 가치 수호"

2022년 이탈리아 총선에서 극우 정당 "이탈리아 형제들(FdI, Fratelli d’Italia)"을 이끌며 승리한 조르자 멜로니는 "하느님, 조국, 가족"이라는 전통적 가치를 강조했다.

 

🔹 EU와 대립각 & 이민 문제 강경 대응
멜로니는 유럽연합(EU)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며, 이탈리아의 국가 주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난민 유입을 막기 위해 지중해 난민선 구조 활동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3. 극우 포퓰리즘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

① 민주주의의 퇴보 위험

  • 극우 포퓰리스트들은 법치주의 및 삼권분립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 트럼프의 사법부 개입 시도, 르펜의 언론 규제 정책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② 사회적 분열 심화

  • 극우 포퓰리스트들은 ‘우리 vs. 그들’ 구도를 조성하며 사회적 갈등을 극대화한다.
  • 이민자, 소수자 집단을 희생양 삼아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전략을 구사한다.

③ 다자주의와 국제 협력 약화

  • 보호무역주의, 반(反)글로벌리즘이 확산되면서 국제 협력이 약화되고 있다.
  • 트럼프의 관세 전쟁, NATO 압박, 르펜의 반(反)EU 정책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극우 포퓰리즘의 미래: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① 경제적 불평등 해소 노력

  • 포퓰리즘이 성장하는 근본적 원인은 경제적 불평등이다.
  • 소득 재분배 정책, 일자리 창출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② 민주주의 가치 강화

  • 언론 자유 보호, 사법부 독립 보장, 선거제도 개혁 등이 필요하다.

③ 국제 협력 강화

  • 글로벌 문제(기후변화, 경제 위기, 난민 문제 등)에 대한 다자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
  • 유럽연합(EU)과 같은 국제기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5. 극우 포퓰리즘, 민주주의의 도전 과제

극우 포퓰리즘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다.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경제적 불평등, 기존 정치 시스템에 대한 불신, 민족주의적 정서가 극우 정치인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그러나 극우 포퓰리즘은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고 민주주의의 근본 가치를 위협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포괄적 경제정책, 민주주의 가치 수호, 국제 협력 강화가 절실하다.

 

과연 우리는 극우 포퓰리즘이 만들어낸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정치학]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선거만으로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을까?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선거만으로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을까? 1. 대의민주주의는 여전히 유효한가?대의민주주의는 근대 정치의 핵심 원칙으로 자리 잡아왔다. 국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기 어

brightsky9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