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식개념 5

[주식 개념] 챕터 9. 봉차트(주식 차트) 읽는 방법 2

챕터 9. 봉차트(주식 차트) 읽는 방법 2 저번 글에서는 기본적인 봉차트를 읽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봉차트의 패턴을 보고 매매 판단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저점에서 큰 양봉이 나타날 때     주가가 계속 하락하다가 저점에서 큰 양봉이 나타나면 추세가 반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매수 관점으로 보되 차후 조정 시 보합선에서 매수 고려  2. 저점에서 큰 음봉이 나타날 때    하락세가 주춤하다가 큰 폭락이 나타나는 경우,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이 투매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거래량이 늘어나면 향후 상승 가능성이 높음      → 추세 관망이 유리  3. 고점에서 큰 음봉이 나타날 때     상승하던 주가가 고점에서..

[주식 개념] 챕터 8. 봉차트(주식 차트) 읽는 방법 1

챕터 8. 봉차트(주식 차트) 읽는 방법 1   1. 봉차트의 종류  1) 일봉차트 : 하루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다  2) 주봉차트 : 1주일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다  3) 월봉차트 : 1달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다  4) 봉차트 읽는 방법 : 주가가 시가 대비 상승한 날은 양봉, 하락한 날은 음봉  2. 강한 양봉     시장이 개장해서 장이 마감ㅎ말 때 까지 매수세가 강해서 주가가 상승으로 마감한 경우      → 매수세력이 강해서 상승 관점으로 판단 3. 아래꼬리가 달린 양봉     장중 주가가 시가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한 모양      → 매수세력이 강해서 상승 관점으로 판단   4. 위꼬리가 달린 양봉     전일대비 주가가 상승했지만, 고가에서 매도세에 밀려 종가는 고가 ..

[주식 개념] 챕터 7. PBR(주가순자산비율)로 투자 후보 고르기

챕터 7. PBR(주가순자산비율)로 투자 후보 고르기  1.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이란?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낸는 지표PBR = 주가 / 1주당 자산 PER(주가수익비율)이 기업의 수익성을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라면, PBR (주가순자산비율)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 2. PBR의 의미    어떤 기업의 순자산이 많다는 것은 재무상태가 양호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PBR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PBR이 높다 → 주가가 재무상태에 비해 높다PBR이 낮다 → 주가가 재무상태에 비해 낮다즉, PBR이 낮을 수록 주가가 저평가 챕터..

[주식 개념] 챕터 5. PER(주가수익비율)로 주가 평가하기(1/2)

챕터 4에서 주가의 고평가 여부는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를 확인하여 판단할수있다고 했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PER(주가수익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의 개념PER(Price to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은 현재의 주가를 EPS(Earnig Per Share,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수익이 1주당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주가/EPS(주당순이익) 예를 들어볼까요제가 24년 1월 투자를 받아 발행주식수 10,000주인 A반도체라는 회사를 만들고 증권거래소에 상장을 했습니다. 그리고 24년 12월 재무상태를 보니 순이익 1억원을 벌었습니다. 그러면 1주당 1만원의 순이익이 생겼죠. 주가를 보니간 1주당 1만원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