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ㆍ학습/경제학ㆍ금융ㆍ국제경제

[주식] 챕터 2. 매매체결 원칙, 주식은 어떻게 거래가 이루어질까

공부하는 이립 2024. 11. 16. 12:20
반응형

챕터 2. 매매체결 원칙, 주식은 어떻게 거래가 이루어질까

 

챕터 1에서는 주식계좌를 개설해 봤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주식시장에 매매가 어떤 원칙에 따라서

이루어 지는지 알아봅시다.

 

▶ 챕터 1. 주식계좌 만들기

 

[주식] 챕터 1. 주식 계좌 만들기(with 키움증권)

챕터1. 주식계좌 만들기 1. 계좌 개설하기 1) 증권사 선택하기 먼저 증권사를 선택해 보자. 증권사 선택기준은 신용도가 높고 리서치 능력이 좋은 회사를 고르는 게 좋다. * 수수료는 증권사별로

brightsky93.tistory.com

 

 

주식시장에서 매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매매체결에는 '가격우선', '시간우선',

'수량우선', '위탁매매' 우선이 있으며, ① 가격, ② 시간, ③ 수량 순으로 매매가 이루어 집니다.


 

1. 가격우선 원칙

주식시장에서는 가격이 유리한 주문을 우선적으로 체결합니다. 가격이 유리하다는게 어떤 의미일까요?

 

비싼 가격에 구입하고, 싼 가격에 매도 하는게 유리하겠죠. 즉 매수주문높은 가격이 유리하고, 매도주문낮은 가격이 유리합니다.

 

그래서 매수/매도가 빨리 이뤄지길 원하시면 매수호가는 높게, 매도호가는 낮 게 하면 됩니다. 생각해보면 너무 당연하죠

 

가격우선원칙

 

매수주문은 높은 가격을, 매도주문은 낮은 가격을 먼저 체결한다.

 

 


2. 시간우선 원칙

시간적으로 먼저 주문을 한 주문을 나중에 한 주무보다 먼저 체결하는 원칙입니다. 같은 가격의 주문이라 도 먼저 낸 주문을 우선적으로 체결하는 것입니다.

 

예를 A와 B가 ★★전자의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1주당 9만원 매수 주문을 했을 떄 A가 B보다 1분이라도 먼저 매수 버튼을 클릭했다면 B보다 A의 주문이 먼저 이 루어지게 됩니다.

 

시간우선 원칙

 

먼저 주문을 입력한 사람이 우선

 

 

※ 참고) 주문체결 과정

 

HTS/MTS 주문입력 → 데이터 전송 → 증권사 서버 → 데이터 전송 → 거래소 서버(주문 체결)

데이터 전송 → 증권사 서버 → 체결 전송 → HTS/MTS

 

주문체결 과정은 위와 같이 이루어 집니다. 개개인이 이용하는 증권사가 다를지라도 주문은 거래소 서버 에서 이루어 집니다. 그래서 주가가 급변해서 1초라도 더 빨리 거래가 체결되야 하거나 주문량이 폭발해 서 서버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있어서 전산시스템이 잘되어 있는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수량우선 원칙

많은 양을 거래하는 사람이 먼저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가격의 주문이 있을 때는 수량이 많은 주문자의 주문을 우선 처리하는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가 ★★전자의 주식을 1주당 9만원에 매수를 하는데 A는 1000주, B는 500주를 주문했 다고 해보죠.

 

이럴경우 A에게 먼저 배분을 하고 B에게 배분을 해주겠죠.

 

수량우선 원칙

 

많이 매수/매도 하는 사람이 먼저


4. 위탁매매 우선 원칙

동시호가 시간에 주문 시 증권사의 자기매매 보다 고객의 주문을 우선하는 원칙입니다.

 

위탁매매 우선 원칙

 

고객 주문 > 증권사 주문

 

※ 참고) 동시호가 제도

- 주문을 모두 모아 같은 시간에 주문이 접수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때 시간우선 원칙은 고려하지 않고 가격

  우선 원칙과 수량우선 원칙만 단일한 가격으로 체결시키는 제도입니다.

- 동시호가 거래는 주식시장 개시 전과 마감 전 두 번에 걸쳐 실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