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글맞춤법 7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조사), 시험에 반드시 나오는 내용

띄어쓰기(조사), 군무원 국어 시험에 반드시 나오는 내용1) 한글 맞춤법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쓴다      조사는 그것이 결합되는 체언이 지니는 문법적 기능을 표시 하므로, 그 앞의 단어에 붙여쓴다.      조사가 둘 이상 겹치거나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앞말에 붙여 쓴다.       * 조사 : 자립 형태소(체언 따위) 뒤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추가하는 의존 형태소 2) 형태가 특이한 조사      : -는커녕, -이나마, -치고, -마따나, -마다, -(이)야말로, (이)ㄴ들, 서껀 등은 조사로 앞말에 붙여쓴다​3) 조사처럼 보이는 어미     : -ㄹ수록, -을망정, -ㄹ뿐더러, -고말고, -ㄹ지언정, -ㄹ지라도, -자마자, -다마다 등은 용언의 어미    ..

○ 국어 공부 2025.02.01

[한글 맞춤법] 곰곰이? 곰곰히?, 번번이? 번번히?

'번번이'와 '번번히' 중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일까요? '번번이'가 바른 표현입니다.​한글 맞춤법 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습니다.그리고 이 조항의 해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① 겹쳐 쓰인 명사 뒤  예) 겹겹이, 곳곳이, 길길이, 나날이, 낱낱이, 다달이, 땀땀이, 몫몫이, 번번이, 샅샅이, 알알이, 줄줄이         짬짬이② 'ㅅ' 받침 뒤  예) 기웃이, 남짓이, 버젓이, 번듯이, 빠듯이, 지그이③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예) 가벼이, 괴로이, 기꺼이, 너그러이, 새로이, 쉬이, 외로이, 즐거이④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의 어간 뒤  예) 같이, 굳이, 길이, 깊이, 높이, 많이, 헛되이⑤ 부사 뒤  예) 곰곰이, 더욱이, 생긋..

○ 국어 공부 2025.01.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