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뜻풀이 : 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의리(義理)를 먼저 생각함을 이르는 말
- 見 볼 견, 利 날카로울 리(이), 思 생각 사, 義 옳을 의
참고로 '24년도 7급 국어 시험 한자 성어 문제의 정답이었던 선지입니다.
견리사의(見利思義)의 유래와 예시
1. 유래 이야기
이 고사성어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가르침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유래 배경
『논어(論語)』 <헌문편(憲問篇)>에서 공자는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이익을 보면 먼저 그것이 의로운지 생각하라(見利思義).
사람이 자신의 이익만 좇고 의(義)를 생각하지 않으면, 결국 신뢰를 잃고 큰 화를 부르게 된다."
이 말은 자신에게 이득이 되는 일이더라도 도덕적이고 정당한 방법인지 먼저 고민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즉,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도리를 저버리지 말라는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반응형
2. 견리사의의 예시
✅ 기업과 윤리 경영
→ "기업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견리사의의 원칙을 지키며 윤리적인 경영을 해야 한다."
✅ 비즈니스와 인간관계
→ "돈을 벌기 위해 친구를 속이면 결국 신뢰를 잃는다. 견리사의의 자세가 필요하다."
✅ 정치·사회적 리더십
→ "정치인은 개인의 이익보다 국민의 이익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견리사의 정신이 필요한 시대다."
✅ 일상 속 도덕적 선택
→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면 당장은 이득이겠지만, 견리사의를 생각하며 정직하게 시험을 치러야 한다."
반응형
'학문ㆍ학습 > 국어ㆍ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성어] 背恩忘德(배은망덕),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5 |
---|---|
[한자 성어] 易地思之(역지사지),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5 |
[한자 성어] 居安思危(거안사위),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4 |
[한자 성어] 濫竽充數(남우충수),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4 |
[한자 성어] 磨斧作針(마부작침),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