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월 2주 | 미국 주식 주간 브리핑: 혼조세 속 기술주 강세 유지
이번 주(2025년 2월 10일~2월 14일) 미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이며 마무리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소비 지표 둔화, 기술주 상승세 지속 등이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미국] 2월 14일 금요일 미국 주식 시장 마감 브리핑: 관세 정책과 경제 지표에 따른 혼조세 마감
2월 14일 | 미국 주식 시장 브리핑: 관세 정책과 경제 지표에 따른 혼조세 마감이번 주 마지막 거래일은 혼조세로 마감되었으며,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경제 지표에 주목하는
brightsky93.tistory.com
📈 1. 미국 증시 주간 성과 요약
지수 | 주간 종가 | 주간 변동폭 | 등락률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44,546.08 | 🔺 +206.15 | +0.47% |
S&P 500 | 6,114.63 | 🔺 +88.58 | +1.47% |
나스닥 종합지수 | 20,026.77 | 🔺 +508.94 | +2.61% |
🔹 다우존스: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대형주 상승으로 상승 마감
🔹 S&P 500: IT, 반도체 주도의 상승세
🔹 나스닥: 기술주 강세로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 주간 총평: 이번 주 S&P 500과 나스닥은 기술주 강세로 상승했으며, 다우지수는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 2. 미국 주식 시장 주요 이슈
🔥 ① 트럼프 행정부, 4월부터 '상호 관세' 부과
트럼프 대통령이 4월부터 자동차와 주요 산업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 유럽, 일본, 한국 등 주요 자동차 수출국의 자동차·부품 기업들에 타격 예상
🔹 미국 기업도 원자재 가격 상승 우려로 부담 증가
📌 관련주: GM(GM), 포드(F), 테슬라(TSLA), 도요타(TM) 등
📉 ② 1월 미국 소매판매 부진 → 경기 둔화 신호
미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 감소하여 예상보다 크게 하락했습니다.
🔹 소비 둔화가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이는 신호로 해석됨
🔹 주요 리테일 및 소비 관련주 하락
📌 관련주: 월마트(WMT), 타겟(TGT), 아마존(AMZN) 등
📈 ③ 기술주 강세 지속, 반도체·AI 관련주 상승
이번 주 나스닥이 2.61% 상승한 주된 이유는 반도체·AI 관련주 강세입니다.
🔹 엔비디아(NVDA), AMD(AMD),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의 AI·반도체주가 상승
🔹 애플(AAPL)도 예상보다 강한 실적 발표로 주가 반등
📌 관련주: 엔비디아(NVDA), AMD(AMD), 마이크로소프트(MSFT), 애플(AAPL)
📊 3. 주요 종목 주간 성과
종목 | 주간 종가 | 주간 등락률 |
애플(AAPL) | $244.60 | 🔺 +3.42% |
마이크로소프트(MSFT) | $408.43 | 🔺 +2.61% |
아마존(AMZN) | $228.68 | 🔺 +1.93% |
알파벳(GOOGL) | $185.23 | 🔺 +1.54% |
테슬라(TSLA) | $355.84 | 🔺 +1.11% |
엔비디아(NVDA) | $138.85 | 🔺 +2.59% |
💡 주간 특징
- 엔비디아(NVDA) +2.59% 상승: AI 및 반도체 수요 증가 기대
- 애플(AAPL) +3.42% 상승: 실적 반등 및 서비스 매출 증가
- 테슬라(TSLA) +1.11% 상승: 전기차 시장 확대 기대, 다만 관세 우려 존재
📉 4. 채권 및 원자재 시장 동향
자산 | 주간 가격 | 변동폭 |
미국 10년 국채 금리 | 4.48% | 🔻 -8bp |
서부텍사스산원유(WTI) | $77.35 | 🔻 -1.74% |
국제 금 가격 | $2,035 | 🔺 +1.2% |
- 국채 금리 하락: 경기 둔화 우려 반영
- 국제 유가 하락: 글로벌 경제 둔화 우려로 원유 수요 감소
- 금 가격 상승: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 5. 다음 주(2월 18일~23일) 전망 및 투자 전략
📌 다음 주 주요 이벤트 ✔️ 2월 21일(수): 미국 제조업 PMI 발표 – 경기 둔화 신호 여부 확인
✔️ 2월 22일(목): FOMC 의사록 공개 –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 확인
✔️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엔비디아(NVDA), 홈디포(HD) 등
💡 투자자 체크포인트 ✔️ 트럼프 관세 정책 영향 지속 확인
✔️ 기술주, 반도체 관련 강세 지속 가능성 높음
✔️ 경기 둔화 지표 확인 후 방어적 포트폴리오 고려
📢 결론 및 투자 전략
📌 이번 주 미국 증시는 혼조세 속에서도 기술주 강세로 상승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로 무역 불확실성 증가
📌 소매판매 부진으로 경기 둔화 우려 확대
📌 AI·반도체주 중심으로 강세 지속, 나스닥 상승세 유지
🔹 단기 전략: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리스크 관리 필요
🔹 장기 전략: 기술주 및 반도체 섹터 중심으로 투자 비중 유지
'○ 현실 이야기 > 경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배터리 기술 수출 규제와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 분석 (0) | 2025.02.17 |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인텔 분할 매각 검토 (2) | 2025.02.17 |
[미국] 2월 14일 금요일 미국 주식 시장 마감 브리핑: 관세 정책과 경제 지표에 따른 혼조세 마감 (0) | 2025.02.15 |
[국내] 2025년 2월 2주 한국 주식시장 주간 브리핑 (2) | 2025.02.15 |
트럼프의 ‘상호 관세’ 선언,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