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합시다/논리학

[논리학] 챕터6. 논리적 연결어

이대위 2025. 2. 16. 09:39

 

챕터6. 논리적 연결어

 

 

[논리학/리트] 챕터 5. 명제 : 정의와 유형

명제 : 정의와 유형  [논리학/리트] 챕터 4. 논리적 가능성 : 개념과 예시논리적 가능성 : 개념과 구체적 예시​명제, 추론 등의 개념 설명에 앞서 이번 글에서는에서는 '논리적 가능성'에 대해

brightsky93.tistory.com

 

1. 논리적 연결어란?

논리적 연결어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여 논리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논리적인 추론을 가능하게 합니다. 대표적인 논리적 연결어로는 "그리고", "또는", "하지만", "그러나", "왜냐하면" 등이 있습니다.

 

 

2. 주요 논리적 연결어의 유형

논리적 연결어는 기능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순접(병렬 관계): 두 개 이상의 내용을 나란히 연결할 때 사용

  • 그리고: 앞뒤 문장을 같은 방향으로 연결함.

예: "논리학은 사고력을 키우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논증 능력도 향상시킨다."

  • 또한: 앞 내용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함.

예: "논리학은 과학과 철학에서 활용된다. 또한 법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선택(대등 관계):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때 사용

  • 또는(혹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

예: "논리학을 공부하면 수학적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도 있다."

  • 아니면: 두 가지 선택지를 제시할 때 사용.

예: "논리학을 공부할까? 아니면 철학을 공부할까?"

 

3) 역접(대조 관계): 앞 문장과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할 때 사용

  • 하지만(그러나): 앞뒤 문장이 대조되거나 반대되는 내용을 포함할 때 사용.

예: "논리학은 많은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하지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 반면에: 두 가지 요소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질 때 사용.

예: "귀납적 추론은 경험적 근거를 중시한다. 반면에 연역적 추론은 논리적 일관성을 강조한다."

 

4) 인과(원인과 결과 관계): 원인과 결과를 연결할 때 사용

  • 왜냐하면: 앞 문장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

예: "논리학은 중요한 학문이다. 왜냐하면 사고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따라서): 앞 문장의 결론을 나타낼 때 사용.

예: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논리학을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

 

5) 조건(가정과 결과 관계): 특정 조건이 충족될 경우의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

  • 만약 ~라면: 어떤 조건이 있을 때 특정한 결과가 생긴다는 의미.

예: "만약 논리학을 꾸준히 공부한다면, 사고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 그렇지 않다면: 반대 상황을 제시할 때 사용.

예: "연습하지 않으면 논리적 사고력이 발달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누구나 쉽게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3. 논리적 연결어 사용 시 주의할 점

  • 연결어를 과하게 사용하면 문장이 복잡해질 수 있음.
  • 의미에 맞는 연결어를 선택해야 논리적인 흐름이 유지됨.
  • 구어체와 문어체에서 다르게 쓰일 수도 있으므로 문맥에 맞게 사용해야 함.
논리학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연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