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군생활 7

[장교] 공군 군사경찰 특기 장교의 군 생활 - 옆에서 지켜본 他 병과의 삶

공군 군사경찰 특기 장교의 군 생활 - 옆에서 지켜본 他 병과의 삶 1. 선발기수별로 ○○명 선발한다. 가끔 미달이 나는 기수도 있다. 우리 기수에서는 미달이 났다. 2. 근무지/업무대부분 비행단 군사경찰대대로 가고 일부는 비행단 기작과, 여단으로 간다. 군사경찰대대로 가면 처음에는 소대장으로 보직을 시작해서 중위가 되면 중대장으로 보직을 이동한다. 여단으로 가면 중대장을 맡거나 본부에서 참모직을 맡는다. 다시 한번 더 정리하면 군사경찰 중ㆍ소위 보직은 기작과/여단 참모직과 비행단/여단 중(소)대장으로 두 가지다. 중대장, 소대장이 하는 주 업무는 역시 병력관리다. 그런데 군사경찰은 병사가 많다. 병사들이 많다 보니 사건·사고를 연루되는 병사가 많을 수밖에 없고 그래서 신경 써야 할 부분도 많다. 속된 ..

[장교] 초급장교 군 생활 주의사항 1

초급장교 군 생활 주의사항 11. 준ㆍ부사관을 존중하자 - ‘자네가 주임원사인가?’군 생활을 하고 있었을 때, 가끔 정말 상식 밖의 행동을 하는 초급장교를 몇 번 본 적 있다. 부대별로 꼭 한 명씩 부사관들하고 사이가 좋지 않은 장교가 있다. 이런 장교들의 특징 중 하나가 부사관들을 무시하는 태도이다. 부사관들은 전문대 출신이거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입대한 사람들이 많다. 그렇다고 4년제나 명문대 출신 부사관이 없는 것도 아니다(이 말이 전문대, 고졸 출신을 무시해도 된다고 이해하는 사람이 없길 바란다). 장교만큼이나 부사관들도 출신이 다양하다. 그런데 일부 몰지각한 장교들은 자신의 졸업장(수능 성적)만 생각하며 부사관들을 대할 때 무시하는 태도가 기저에 깔려있고, 하대하려고도 한다. 低 연차 장..

[병사] 공군 병 군 생활 - 신이 내린 보직, 문서체송병

옆에서 지켜본 공군 병의 군 생활 – 신이 내린 보직, 문서체송병 공군 병 인사교육 특기 중에는 ‘문서체송병’ 이라는 보직이 있다.공군 상위 1%의 꿀 보직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는 일은 인행처로 온 군사비밀, 교범 등을 다른 부서에 전달해 주는 것이다. 단 본부 내에서 집배원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말로 이게 주 업무다. 그 외에는 인행처 간부들이 시키는 잔심부름 외에는 일이 없다. 인행처에 볼 일이 있어서 방문할 때면, 이 친구들은 수능 교재를 펴고 공부를 하고 있었다. 단 본부에는 병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인행처의 병사들도 1명 내지 2명뿐이다. 선임 병사가 터치할 일도 없다. 간부들도 시킨 일만 잘 끝내놓으면 터치를 하지 않는다. 애초에 요즘 병사들은 선ㆍ후임 개념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

[병사] 공군 병의 일반적인 일과 - 옆에서 지켜본 병사들의 생활

공군병의 일과 - 옆에서 지켜본 병사들의 생활 공군 병사들의 하루 일과는 어떻게 돌아갈까? 특기별로 업무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인 하루 일과는 대게 비슷하다. 물론 군사경찰, 급양병 처럼 생활 루틴이 다른 병사들도 있다. 교대근무를 하는 특기도 있다.  06:30 기상/아침 점호코로나 시국일 때는 생활관 대표만 나와서 점호를 했는데, 지금은 악기상일 때를 제외하고 야외 점호와 함께 아침 구보를 한다. 08:30 출근 간부들은 대게 8시가 되면 출근을 하지만 병사들은 08:30 맞춰서 출근을 한다.  08:30 ~ 11:30 오전 일과공군은 육군과 다르게 ORI, ORE 기간이 아니면 훈련이 거의 없다. 기껏해야 분기별 사격훈련 정도. 평소에는 사무실에 업무를 보거나 작업에 나간다. 작업이라고 해..

[장교] 장기복무를 하지 않고 대위로 전역하는 방법, 연장복무 선발 제도

장기복무를 하지 않고 대위로 전역하는 방법 공군에서 대위로 전역하는 사람은 크게 두 가지 부류다. 장기복무자로 선발되었지만 중간에 전역하는 사람과 ‘연장 복무’를 해서 의무복무가 끝났지만 1~2년 더 군 생활을 하다가 전역하는 사람 공군에는 장기복무 선발 외에도 ‘연장복무 선발 제도’라는 것이 있다. 장교 중에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대위다. 대위들이 하는 일이 많고 그만큼 많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은 대위가 많이 부족하다. 장기복무자로 이 인원을 모두 채울 수가 없다. 그래서 연장 복무 제도를 통해서 부족한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1. 선발’22년까지는 1년에 두 번 선발했으나 ’23년부터는 1년에 한 번씩 전반기에 선발을 하고 있다. 연장 복무 지원 시 의무복무가 끝나고 몇 년 더 복무를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