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ㆍ학습/국어ㆍ언어

[한자 성어] 十匙一飯(십시일반),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공부하는 이립 2025. 1. 15. 23:42
반응형

십시일반(十匙一飯)의 유래

1. 뜻

십시일반(十匙一飯)은 "열 사람이 한 숟가락씩 보태면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입니다.
즉,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치면 큰 도움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2. 유래 이야기

이 고사성어는 중국의 『주서(周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유래 배경
중국 고대 주나라(周)에서 한 현명한 왕이 백성들을 다스릴 때의 이야기입니다.

 

왕은 "모두가 조금씩만 나누면 어려운 사람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자 신하가 왕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열 사람이 한 숟가락씩만 밥을 퍼주면 한 사람을 먹일 수 있지 않겠습니까?"

 

왕은 이 말을 듣고, "모든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고,
이후 국가 정책으로 부유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을 돕도록 장려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유래하여 십시일반(十匙一飯)이라는 표현이 생겼고,
"조금씩 나누면 큰 도움이 된다"는 의미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3. 십시일반의 예시

기부와 나눔
→ "작은 정성이 모이면 큰 힘이 됩니다. 십시일반의 정신으로 기부에 동참합시다."

재난 지원
→ "지진 피해를 입은 지역을 위해 국민들이 십시일반으로 성금을 모았다."

회사·팀워크
→ "모두가 십시일반으로 아이디어를 내면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다."

일상생활
→ "친구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십시일반으로 도와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