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지상정(人之常情)의 유래
1. 뜻
인지상정(人之常情)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보편적인 감정이나 인정"을 뜻합니다.
즉, 누구나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심리나 정서를 의미합니다.
- 人(인): 사람
- 之(지): ~의
- 常(상): 항상, 보편적인
- 情(정): 감정, 인정
즉,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당연한 감정"이라는 뜻입니다.
2. 유래 이야기
이 고사성어는 중국 한나라 시대의 문학 작품과 유학 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특히, 『예기(禮記)』, 『논어(論語)』 등에서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는 자연스러운 감정"을 설명하면서 사용되었습니다.
📖 유래 배경
한나라 시대, 유학자들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감정이 존재한다고 믿었습니다.
예를 들어,
-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
- 어려운 사람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드는 것
- 슬픈 일을 겪으면 눈물이 나는 것
이러한 감정들은 개인의 특수한 감정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보편적인 심리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개념이 발전하면서 "인지상정(人之常情)"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졌습니다.
반응형
3. 인지상정의 예시
✅ 남을 이해할 때
→ "아무리 강한 사람도 슬플 때 눈물을 흘리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 사회적 공감
→ "힘든 친구를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 비즈니스와 인간관계
→ "돈을 빌려주면 갚기 어려워지는 게 인지상정이니, 돈거래는 조심해야 한다."
✅ 일상생활
→ "시험에서 떨어져서 속상한 건 인지상정이니까 너무 자책하지 마."
반응형
'학문ㆍ학습 > 국어ㆍ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성어] 吳越同舟(오월동주),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6 |
---|---|
[한자 성어] 俯首聽令(부수청령),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6 |
[한자 성어] 棟梁之材(동량지재),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5 |
[한자 성어] 十匙一飯(십시일반),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5 |
[한자 성어] 背恩忘德(배은망덕), 군무원 국어 기출 한자 성어 (0) |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