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이야기/공군 이야기

공군 작전개념, 알고 입대하면 보이는 것들

공부하는 이립 2025. 1. 4. 20:38
반응형

공군 작전개념, 알고 입대하면 보이는 것들

공군에 입대하면 어떤 생활을 하게 될까? 그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먼저 공군이라는 조직이 어떤 작전 개념을 바탕으로 움직이는지부터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사실 공군 작전에 대해 몰라도 복무하는 데 큰 지장은 없다. 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작전 개념을 이해하고 입대하면 이 조직이 왜 이렇게 돌아가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출처 공군본부 홈페이지

공군의 세 가지 핵심 임무

공군은 크게 세 가지 작전을 수행한다.

  • 항공작전
  • 방공작전
  • 기지방어작전

이 중 가장 중요한 임무는 전시에 전투기를 출격시켜 제공권을 장악하는 것이다.
육군이 전시에는 부대를 전개하여 전방으로 나아가는 구조라면, 공군은 기지를 사수하면서 출격(소티)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공군은 전쟁이 나도 기지를 떠나지 않는다.

 

기지를 지키며 비행기를 띄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구조가 공군 복무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작전의 중심이다.


공군은 왜 행군 훈련을 하지 않을까?

공군은 자대 배치를 받아도 행군 훈련을 하지 않는다.
전시에 부대가 기지를 이탈하지 않기 때문에, 훈련 역시 이동보다는 기지방어에 집중되어 있다.

 

대표적인 공군 훈련은 다음과 같다.

  • 기지방어 훈련
  • 탄도탄 공습 대비 대피 훈련
  • 화생방 훈련

이러한 훈련들을 통해 공군은 항공작전을 지속할 수 있는 전투태세를 유지한다.


ORI와 ORE는 무엇인가?

공군 복무 예정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가 있다. 바로 ORIORE다.

  • ORI(Operational Readiness Inspection)
    전투지휘검열로, 공군의 전시 대비태세를 외부에서 점검하는 훈련이다.
  • ORE(Operational Readiness Exercise)
    전투태세훈련으로, 부대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기량을 유지하기 위한 훈련이다.

군 생활을 하다 보면 대부분 한 번 이상 ORI를 겪게 된다.
이때 방독면과 보호의를 착용한 채 MOPP4 단계로 뛰어다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항공작전과 방공작전은 왜 드러나지 않을까?

공군 훈련은 가끔 언론에도 보도된다.

  • “○○비행단 엘리펀트워크 실시”
  • “Soaring Eagle 훈련 진행”
  • “○○부대 전개훈련 모습 공개”

하지만 이런 훈련의 핵심 내용은 거의 공개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 군사비밀에 해당하기 때문
  • 참가자가 아니면 내용을 알기 어렵기 때문

그렇다고 나와 무관한 일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이러한 훈련들은 장교든 병사든 공군 구성원 전체의 일과와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작전부서에 근무할 경우 훈련을 준비하고 지원하는 업무가 일상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정리하며

공군의 작전개념을 요약하면 이렇다.

"전시에도 기지를 지키며 비행기를 계속 출격시키는 것"

공군이 어떤 원칙 아래 움직이는지를 이해하면, 복무 중 겪게 되는 일과 훈련의 의미도 더 명확하게 느껴진다.


 

 

공군 신임 소위들이 알아두면 좋은 것들

공군 신임 소위들이 알아두면 좋은 것들자대 배치를 앞두고 있거나, 막 부서에 배치된 공군 신임 소위들이 있다면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특히 정보 특기 장교들이라면 지금

brightsky9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