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7일 한국 증시 마감 브리핑
2025년 2월 17일 한국 증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며 상승 마감했다. 코스피는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610선을 회복했으며, 코스닥도 1.61% 상승하면서 강세를 나타냈다. 기관 투자자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시장을 견인했으며, 방산, 보험, 반도체 및 2차전지 관련 종목이 상승을 주도했다.
1. 코스피 시장 동향
(1) 주요 지수 및 수급 현황
- 종가: 2,610.42 (+0.75%)
- 수급 동향:
- 기관: 2,189억 원 순매수
- 외국인: 2,238억 원 순매도
- 개인: 336억 원 순매도
(2) 업종별 흐름
- 강세 업종:
- 방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26%)
- 보험주 (삼성화재 +8.42%)
- 석유화학주 (롯데케미칼 +7.46%)
- 약세 업종:
- 자동차 (현대차 -3.01%, 현대모비스 -1.60%)
(3) 시장 분석
코스피는 기관 투자자의 강한 매수세로 인해 상승세를 지속했다. 최근 방산 산업의 수주 확대 및 AI 반도체 관련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일부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자동차 업종은 조정 국면에 들어가며 약세를 나타냈다.
2. 코스닥 시장 동향
(1) 주요 지수 및 수급 현황
- 종가: 768.48 (+1.61%)
- 수급 동향:
- 외국인: 609억 원 순매수
- 개인: 198억 원 순매도
- 기관: 303억 원 순매도
(2) 업종별 흐름
- 강세 업종:
- 제약/바이오 (알테오젠 +1.14%)
- 2차전지 (HLB +5.04%, 에코프로비엠 +2.03%)
(3) 시장 분석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돋보였다. 특히 2차전지 및 AI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며 코스닥 시장의 상승을 이끌었다. 또한, 바이오주도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긍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3. 환율 및 채권 시장 동향
- 원/달러 환율: 1,441.7원 (-0.2원)
- 국고채 금리:
- 3년물: 2.623% (+1.2bp)
- 10년물: 2.869% (+2.3bp)
(1) 시장 분석
환율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며, 채권 시장에서는 금리가 소폭 상승했다. 최근 미국 경제 지표 발표에 따라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향후 환율과 금리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 글로벌 시장 및 주요 이슈
(1) 미국 시장 영향
-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 미국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 경기 둔화 우려 부각
(2) AI 반도체 및 2차전지 강세
- AI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라 관련 종목들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
(3) 기관의 지속적인 매수세
- 기관 투자자들이 방산, 보험, 반도체 등 특정 업종에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시장 상승을 주도
- 글로벌 시장 불안 속에서도 국내 증시는 비교적 견고한 흐름 유지
5. 향후 증시 전망 및 투자 전략
(1) 코스피 전망
- 단기적으로 2,650선까지 도전 가능성
- 기관의 매수세가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 있음
(2) AI 반도체 & 2차전지 관련주 강세 지속
-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성장하면서 국내 기업들도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음
- AI 인프라 확충 관련 정부 정책 발표도 긍정적인 요소
(3) 글로벌 금융 시장 변수 주목
-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경제 흐름이 국내 증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음
-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커질 경우 수출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현재 한국 증시는 기관 매수세와 특정 업종 강세에 힘입어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방산, AI 반도체, 2차전지 등 강세 업종을 중심으로 접근하되, 글로벌 이슈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는 전략이 필요하다.
- 단기 투자자: 방산, 2차전지 관련 종목 단기 매매 가능
- 장기 투자자: AI 반도체 및 친환경 산업 관련 기업에 대한 관심 필요
- 위험 관리: 글로벌 경제 지표 및 금리 변동성 고려한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
정부, AI G3 도약을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
대한민국 AI G3 도약을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 정부는 AI(인공지능) G3(3대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이번 계획의 핵심은 연
brightsky93.tistory.com
'○ 현실 이야기 > 경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2월 18일 화요일 한국 증시 마감 브리핑: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방산ㆍ조선 강세 (1) | 2025.02.18 |
---|---|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 및 ‘오센벨트’ 유럽 품목허가 획득 (0) | 2025.02.18 |
정부, AI G3 도약을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 (1) | 2025.02.17 |
중국의 배터리 기술 수출 규제와 한국 배터리 산업 영향 분석 (0) | 2025.02.17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인텔 분할 매각 검토 (2)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