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 이야기/경제소식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 및 ‘오센벨트’ 유럽 품목허가 획득

이대위 2025. 2. 18. 10:37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 및 ‘오센벨트’ 유럽 품목허가 획득

 

셀트리온은 2025년 2월 18일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성분명 데노수맙)’와 ‘오센벨트’의 품목허가를 동시에 획득하였다.

 

이 두 제품은 각각 골다공증 치료제 및 암환자 골 전이 합병증 예방 치료제인 ‘프롤리아’ 및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기반으로 2024년 3월 EC에 품목허가 신청을 제출했으며, 이번 승인을 통해 유럽 시장 내 바이오시밀러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1. 제품 개요 및 시장 규모

제품명
적응증
오리지널 제품
2024년 글로벌 매출
스토보클로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골 손실 치료
프롤리아
약 9조 원
(프롤리아+엑스지바 합산)
오센벨트
암환자 골 전이 합병증 예방, 골거대세포종 치료
엑스지바
약 9조 원
(프롤리아+엑스지바 합산)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의 오리지널 제품인 프롤리아와 엑스지바는 2024년 기준 전 세계에서 합산 약 9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번 유럽 품목허가를 통해 셀트리온은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2. 글로벌 시장 공략 전략

셀트리온은 유럽 허가 이전인 2024년 11월, 국내에서도 스토보클로와 오센벨트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후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 중이다.

 

1) 글로벌 시장 확대

  • 유럽 승인 이후,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추가적인 품목허가 절차 진행
  • 현재 미국 FDA에 품목허가 신청 완료, 승인 절차 순항 중

 

2) 경쟁력 강화

  • ‘퍼스트무버’ 전략을 통해 유럽 시장에서 빠른 시장 진입 추진
  • 오리지널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 확대

 

3) 포트폴리오 다각화

  • 이번 허가로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유럽 시장 내 경쟁력을 높임
  • 2024년 국내에서 조기 달성한 ‘11종 제품 포트폴리오’를 유럽에서도 완성 목표

3. 기타 주요 제품 및 시장 현황

셀트리온은 이번 품목허가를 포함해 올해 2월에만 3개 제품 허가를 획득했다. 이달 초 EC에서 승인받은 ‘아이덴젤트(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하면 유럽 시장에서 총 11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이 현재까지 판매 중이거나 허가받은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다.

 
제품군
주요 제품
적응증
시장 규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램시마SC,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스테키마, 앱토즈마
류마티스 관절염 등
약 50조 원
항암제
허쥬마, 트룩시마, 베그젤마
유방암, 림프종 등
약 40조 원
알레르기 치료제
옴리클로
알레르기 질환
약 5조 원
안 질환 치료제
아이덴젤트
황반변성 등
약 15조 원
골 질환 치료제
스토보클로, 오센벨트
골다공증, 암환자 골 전이 예방
약 9조 원

 

 


4.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번 유럽 허가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1) 유럽 시장 내 경쟁력 강화

  • 기존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신규 제품을 추가해 지배력을 확대
  • 유럽 시장에서 선점 효과를 극대화하여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리더십 확보

 

2) 미국 시장 진출 가속화

  • 미국 FDA 허가 절차가 진행 중이며, 빠른 승인을 기대
  •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퍼스트무버’ 지위를 유지하며 점유율 확보 전략 추진

 

3)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 가속화

  • 기존 11종 제품 외에도 신규 바이오시밀러 개발 속도 증가
  •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를 통해 신제품 출시 일정 단축

셀트리온의 유럽 품목허가 획득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 확대 및 퍼스트무버 전략을 통해 주요 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셀트리온은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추가 허가를 추진하며, 후속 제품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AI G3 도약을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

대한민국 AI G3 도약을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 정부는 AI(인공지능) G3(3대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발표했다.이번 계획의 핵심은 연

brightsky93.tistory.com